창세기 9장 육식을 하지 말라는 말씀이 아니라 고기를 먹되 피는 먹지 말라는 제한 조건을 붙이신 것입니다. 물론 동물의 피 자체를 마시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동물, 곧 아직 맥박이 뛰고 있는 동물의 피를 먹지 말라는 것입니다. 고대인들은 피에 생명이 들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동물.. 하늘바라기 2012.09.11
창조설화에 나타난 고통에 대한 신학적 해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창조설화(창세 2,4b-3,24를 중심으로) 1. 원죄론의 성립과정 2. 창조설화 Ⅲ. 나가는 말 Ⅰ. 들어가는 말 21세기를 향하는 한국천주교회는 선교 200주년을 기념하면서 그동안 외적으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으면서도, 내적으로 성숙되지 못하고 서구교회의 모방.. 하늘바라기 2012.09.11
창세기 속의 뱀 뱀이 하느님 밖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아니라 악이 하느님 밖에서 유래했다는 말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하느님께서는 모든 것을 선하게 창조하셨다는 것이지요. 뭔가 모순되는 듯 느끼시는 것은 창세기 이야기에서 과학적인 정확성(모순 없는 표현의 정확성)을 기대하시기 때문입니다. .. 하늘바라기 2012.09.10
성경과 과학 성경과 역사의 관계에 대해: 『고대인들은 역사라는 개념을 이해할 때 그것을 ‘사실’(fact)에 대한 보도로 간주하기보다, 그들이 전달하고자 했던 ‘진실’(truth)에 보다 비중을 두고 이해했습니다. 즉, 고대인들은 실제 사건에 대한 사실적 보도보다 이에 대한 신학적 해석과 그 사건이 .. 하늘바라기 2012.09.10
신구약에 나타난 하느님상의 차이점 성경이 태어난 곳은 전쟁의 소용돌이가 그치지 않는 곳이었습니다. 물과 목초지, 비옥한 땅을 차지하기 위하여 고대 근동의 민족들은 생사를 건 싸움을 벌였습니다. 이스라엘이 살던 팔레스티나는 그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열강들의 패권 다툼의 중심지가 되었고, 그들의 삶은 폭력과 전.. 하늘바라기 2012.09.10
창조와 구속의 관계성 19세기 말에서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얼마동안 많은 학자들은 창세기 1장에 나타난 창조 개념은 우주의 기원에 대한 이스라엘의 신학적 이해라는 전제 아래 창세기 1장에 나타난 창조와 고대 근동 지역의 문헌들에 나타난 창조의 개념을 비교 연구하는 일에 관심을 가져 왔다. 그러면서.. 하늘바라기 2012.09.10
성서에서 말하는 하늘나라 사람이 죽고 나면 ‘좋은 곳에 갔다’ 또는 ‘좋은 상태에 놓여 있다’는 뜻으로 보통 ‘하늘나라(천국)에 갔다’고 한다. 그러나 “하늘나라가 어떤 곳이냐?”하고 물으면, 화려한 옷과 맛있는 음식과 좋은 집등 물질의 풍요로움에서 시작하여 완전한 자유와 기쁨과 평화 등, 정신적으.. 하늘바라기 2012.09.10
카인과 아벨 이야기 Ⅰ (창 4,1-8) - 본문 구성분석 (Composition Analysis) - Ⅰ. 서론 성서본문(text)은 기록되기 이전에 구전되어 내려오던 단계를 거쳤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들에게 전해진 것은 기록되어 있는 성서본문(text)뿐이다. 따라서 구전 단계는 가설을 통해 추론해 볼 수밖에 없고 학자마다 다양한 가설.. 하늘바라기 2012.09.09
날마다 성서를 읽기 위한 구체적 방안 그리스도인들 가운데 많은 이는 성서의 의미와 가치를 깊이 깨닫고 있지만 미리 겁을 먹고 매일 성서 읽기를 선뜻 시작하지 못하거나, 시작은 하였지만 며칠 안 가서 손을 놓고 만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지속적인 성서 독서가 그토록 힘들다는 말인가? 나의 사목 경험으로는 다음의 몇 .. 하늘바라기 2012.09.08
성서를 접하기 전에 알아야 할 기본지식 성서는 왜 읽어야 하는가? 성서(聖書, 聖經)를 뜻하는 대부분의 서양 말(라틴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독어, 불어, 영어 등)은 본디 ‘책’을 뜻하는 그리스 말 ‘비블리온’(biblion)의 복수형 ‘비블리아’(biblia)에서 나왔습니다. 그 이름 그대로 성서는 ‘책’의 대명사라 할 수 있습니.. 하늘바라기 2012.09.08